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종자 생존 가능성은? – 붕괴 72시간, 희망은 남아 있을까

by 골드미녀 2025. 4. 14.
반응형

[골든타임 분석] 실종자 생존 가능성은? – 붕괴 72시간, 희망은 남아 있을까

2025년 4월 11일 광명 신안산선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붕괴 사고 이후, 구조된 A씨와 달리 50대 작업자 B씨는 사고 발생 48시간이 지나도록 아직 발견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살아있을 수 있을까?” 많은 이들이 이 질문에 간절히 답을 원하고 있습니다.

📌 골든타임, 왜 72시간인가?

재난 구조학에서 사고 후 72시간 이내는 '생존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시간'으로 평가됩니다. 이는 인간의 수분과 산소 공급 없이 견딜 수 있는 최대치로, 실제 세계 각국의 구조 매뉴얼에도 기준 시간으로 사용됩니다.

단, 환경 조건에 따라 생존 시간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현재까지 경과 시간과 조건은?

  • 🕒 사고 발생 시각: 4월 11일 오후 3시 17분
  • 🕒 현재 경과 시간: 약 48시간 경과
  • 🌡️ 환경 요인: 지하 30m 갱도, 흙더미·철골 구조물 아래, 일부 공간 존재 추정
  • 💧 토사 침수 우려: 방수포 및 차수벽 설치로 침수는 제한적

💬 전문가들에 따르면 폐쇄 공간 내 공기 순환이 일정하다면 72시간 이상 생존도 가능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변수

  • 🧱 공간 유무: 무너진 틈 사이 ‘에어포켓’ 존재 시 생존률 ↑
  • 💨 공기 유입: 외부와 연결된 미세 틈 → 산소 공급 가능
  • 🛠️ 중장비 접근 속도: 빠른 구조 진입로 확보 → 체온 저하 방지

따라서 B씨가 무너진 구조물 사이 일정 공간에 머물고 있다면, 여전히 생존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이 구조대 내부에서도 공유되고 있습니다.

📌 반대로 생존을 위협하는 변수는?

  • 🌧️ 기상 악화 → 지하수 유입, 지반 약화
  • 🔥 무산소 상태 → 호흡 곤란 위험
  • 🌡️ 급격한 체온 저하 → 폐쇄된 공간 내 체온 유지 어려움

특히 4월 13일 새벽까지 이어진 비로 인한 침투수 압력 증가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하며

사고 후 48시간이 지난 지금, 남은 24시간이 생존과 구조의 결정적 기로가 될 수 있습니다.

국민 모두가 기도하는 이 시간, 구조당국의 판단력과 장비 투입 속도, 무엇보다 B씨의 생명력이 희망의 끈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관련 글 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