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리포트] 지하 30미터 갇힌 실종자, 구조는 가능한가?
2025년 4월 11일, 광명역 인근 신안산선 공사 구간 붕괴 사고로 인해 50대 근로자 B씨가 지하 30m 깊이에 실종된 상태입니다. 이후 구조 작업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으며, 많은 시민들이 "과연 구조가 가능한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종자의 위치, 구조 현장 환경, 사용 가능한 장비와 기술 등 구조 가능성의 현실을 다각도로 분석합니다.

📌 실종자는 어디에 갇혀 있나?
실종된 B씨는 공사 당시 지하 30m 깊이 터널 내부에 위치해 있었고, 붕괴 지점과 가장 가까운 아치 구조물 바로 아래에서 작업 중이었던 것으로 파악됩니다.
현장 열화상 드론과 음파 탐지 장비에 따르면, 사고 지점에서 6~8m 정도 안쪽으로 매몰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 구조 작업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
현재 구조대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접근을 시도 중입니다:
- 🛠️ 굴착기 대신 수작업 중심의 절개 작업 (2차 붕괴 방지)
- 🔦 소형 드론 투입으로 공기 흐름 및 음성 탐지 시도
- 🌀 지하수 배수 펌프 가동으로 침수 차단
- 📢 음성 유도를 통한 생존자 반응 확인 시도
그러나 지하 구조물이 무너진 상태라 좁은 공간, 흙더미, 진흙 유입이 많아 구조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구조에 사용되는 기술은?
이번 구조에 투입된 기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열화상 드론 – 생존자 체온 감지
- 🔊 음파탐지 센서 – 작은 움직임에도 반응
- 📍 지반 레이더(GPR) – 구조물 및 공동공간 파악
- 🤖 소형 원격 로봇 – 붕괴 틈새 진입 가능
하지만 구조물 불안정과 토사 유입으로 인해 정밀 장비도 완전한 접근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 생존 가능성은?
전문가들은 사고 직후 빠른 산소 유입과 공간 확보 여부가 관건이라고 말합니다. 현장에서는 다음 조건을 근거로 생존 가능성을 열어두고 구조를 이어가는 중입니다:
- ✅ 일부 구조물이 공간을 형성한 형태로 붕괴되었을 가능성
- ✅ 지하수 차단 펌프 가동이 신속히 이뤄진 점
- ✅ 구조대의 지속적인 음성 시도 및 열감지 활동
💡 마무리하며
지하 30m, 무너진 토사와 콘크리트, 침수 위험 속에서도 구조대는 오늘도 밤낮없이 수색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기술이 할 수 있는 최대치, 사람의 손이 할 수 있는 끝까지 간절히 구조가 이뤄지길 모두가 기원합니다.
“기적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