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종자 수색] 50대 실종자 위치는 어디쯤? – 지하 30m, 마지막 신호 포착 지점 분석
2025년 4월 11일,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대형 붕괴 사고로 인해 작업자 2명이 매몰되었습니다. 이 중 굴착기 기사 A씨는 약 13시간 만에 구조되었지만, 또 다른 50대 작업자 B씨는 여전히 실종 상태입니다.
현장에서는 구조당국이 B씨의 마지막 휴대전화 신호와 근무 위치를 기반으로 지하 약 30m 구간 수색을 이어가고 있으며, 위치 파악과 구조 작업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 마지막 신호 포착 지점은 어디?
국토부와 소방당국에 따르면, 사고 직후 B씨의 휴대전화 신호는 약 20~30m 깊이의 갱도 통로 인근에서 끊겼습니다.
- 📍 굴착 진입구와 연결된 지하 통로
- 📍 구조물 상판 아래 공간 (H빔·철근이 겹겹이 덮여 있는 구조)
- 📍 A씨 구조 지점과 약 6~7m 떨어진 별도 구간
이에 따라 B씨가 마지막으로 있었을 가능성이 높은 구역은 상부 구조물 낙하 및 토사 유입이 집중된 고위험 지역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 수색은 어떻게 진행 중인가?
구조당국은 다음과 같은 장비와 절차를 동원해 수색 중입니다:
- 🔦 열화상 드론 → 내부 온도 변화 감지
- 🎤 소형 음파 탐지기 → 생존자 반응 여부 청취
- 🧱 상판 해체 장비 → 철제 구조물 제거 중
- 🚧 낙하물 고정 및 방수포 차수벽 설치
그러나 붕괴 지역 상부 구조물이 무너질 위험이 여전해, 구조대원 투입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위치는 추정되었지만, 진입이 어렵다
구조 당국은 현재 위치를 어느 정도 추정하고 있으나, 무너진 철 구조물과 흙더미, 그리고 침수 우려 때문에 인명 구조 진입 자체가 극도로 위험한 상황입니다.
특히 지하수 유입으로 지반이 무르고, 2차 붕괴 우려가 커지는 시점이라 조심스럽게 접근 중입니다.
💡 마무리하며
현재까지의 상황은 ‘위치는 파악되었지만 진입이 어렵다’로 요약됩니다. B씨의 생존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은 채 구조당국은 물리적 접근보다는 구조 안전 확보를 우선하고 있습니다.
시민 모두가 실종자의 무사 귀환을 간절히 바라는 지금, 우리에겐 정확한 정보와 신속한 조치가 필요합니다.